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P-4401T
- 윈도우 단축키
- SCADA
- 사용자LOG DB
- 진주육전
- QJ71C24N MODBUS
- 주방등 추천
- ISMART
- 이더넷 통신
- gx logviewer
- PLC 다운로드
- 무수순 통신
- PLC FOR문
- CIMON
- BMOV
- PLC 메모리
- PLC
- PLC FOR-NEXT
- QJ71C24N
- M2I 다운로드
- 단양
- 진주육전맛집
- CIMON SCADA
- FANUC
- 소선지국밥
- 배터리 수명
- 브롤스타즈
- LED 추천
- CIMON 예제
- CIMON LOG DB
- Today
- Total
목록PLC/PLC 명령어 (11)
For maintenance

MELSEC-Q에서 사용 가능한 Timer는 저속/고속 타이머, 적산/고속 적산 타이머 4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위 4가지의 타이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PLC Parameter 수정이 필요하다. 저속 / 고속 타이머 저속/고속 타이머 Parameter는 디폴트값이 Timer Speed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Parameter 디폴트값은 저속 타이머의 경우 1/10초, 고속 타이머의 경우 1/100초로 설정되어있으며, 저속 타이머를 1/100로 수정하면 저/고속 타이머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저속 타이머는 Coil(F7) T0(타임 디바이스)와 K100(적용할 시간)를 입력하면 된다. ----( T0 K100 ) 고속 타이머는 Coil(F7) H T1(타임 디바이스)와 K100(적용할 시간..

$MOV명령어는 Source의 문자열 데이터를 Destination에 문자열 데이터로 전송하는 명령어이다. - Source에서는 " "를 이용하여 문자를 쓸 수 있다. - 문자가 아닌 워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전송이 가능하다.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주의해야하는 부분이다. 전송 시 데이터 범위는 마지막 문자열을 담고 있는 디바이스가 00H(값:0)일때까지 마지막 디바이스로 인식한다. Ex > D100에서 n까지 영역에 모두 문자열이 있다면 모두 인식하여 전송한다. (디바이스 영역이 연결되어 있다면 디바이스 내 값이 없는 영역까지 전송됨) 반드시 Source의 문자열 데이터와 Destination에 문자열 데이터 사이에 00H(zero)값이 존재하여야 한다. 전송하는 문자열 데이터와 전송 받는 문..

◎ 입력값을 기준으로 상하한 리미트값의 범위에 따라 출력값을 제어하는 명령어 (1) 입력값이 지정된 상하한 리미트값의 범위에 따라 지정된 디바이스에 출력값은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 LIMIT 하한값 상한값 입력값 출력값 ] (2) LIMIT : -32768 ~32767 // DLIMIT : -2147483648 ~ 2147483647의 범위 내에서 사용이 가능함 (3) LIMIT은 16Bit단위, DLIMIT 32Bit(더블워드) 단위를 처리한다. ◎ 예를 들면 서보모터 JOG 속도를 5단계로 설정하여 조정하다고 해보자. LI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 LIMIT K1 K5 D0 D0] 설정을 하게되면 1~5단계로 조정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입력값과 출력값에 동일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프로그램을 간소화할 수 있는 명령어 아래와 같이 일정한 패턴으로 된 프로그램이 있다. 이런 형식으로 100개로 이루어져 있으면 프로그램 작성 시간과 스텝 영역이 많아진다. FOR ~ NEXT문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할 수 있다. -----FOR K8 상수영역을 바꾸면 최대 32767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만약 -32768 ~0으로 지정하면 K=1일 때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 주의 사항 1. FOR ~ NEXT 명령 간의 처리를 하고 싶지 않을 때는 CJ, SCJ명령으로 점프시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 35STEP에서 X0가 ON되면 CJ명령어에 의해서 55STEP으로 점프하여 FOR를 사용하지 않는다. 2. 동작 출력측에 상승/하강 펄스 명령은 사용할..

GX-WORKS2에서 소수점 나눗셈 방법을 설명하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 / 」명령어를 많이 사용할 것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소수점이하의 값 대신에 나눈값의 나머지를 별도의 영역에 나타낼 수 있다. 그럼 어떤 명령어를 사용하여야 실수를 나타낼 수 있을까? 「 E / 」 부동소수점 방식으로 연산을 하면 된다. 명령어 사용 방법은 일반적인 「 / 」과 동일하지만, 이렇게 사용하면 CPU ERR가 발생할 것이다. 그 이유는 사용되는 Source device 역시 부동 소수점으로 변경하여야 ERR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하면 된다. ** FLT BIN(상수) → 부동 소수점으로 변경 ** INT 부동 소수점 → BIN(상수)으로 변경 마지막으로 나눗셈 연산에서..

Decode : 사전적 의미는 "해독하다."이다. [(S) Source] 영역의 숫자만큼 [(D) Destination]에 나타내는 명령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명령어에서 "D0"에 15를 입력이면 "M0"(Bit)에 15만큼 이동한 값이 주어줘 M15가 활성화된다. 여기에서 "M0"가 이동 할 수 있는 범위는 "K4"로 상수로 변환하면 2^4 = 16(0~15)까지 나타낼 수 있다. K2 = 2^2 = 4(0~3) K3 = 2^3 = 8(0~7) ************ K8 = 2^8 = 256(0~255) → 최대 가능 범위 "D0"에 16를 입력하면 "K4"에서는 최대 15까지만 이동할 수 있어 16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고 다시 0부터 시작한다. D0 = 0 ↔ M0 D0 = 1 ↔ M..
마킹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10개 나타내기 위해서는 BMOV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1~2개의 데이터를 BMOV(블록무브) 시키기는 쉬우나 여러개의 데이타를 BMOV 시키기 위해서 동일한 명령어를 여러 번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한다. FOR문을 사용하면 시간을 단축하여 편리하게 작성 할 수 있다. FOR문 : PLC가 RUN모드에서 FOR문을 만나면 n회 실행한 후 NEXT명령의 다음 스텝을 실행합니다. FOR~NEXT 루프를 빠져나오는 다른 방법은 BREAK명령을 사용. FOR문을 많이 사용하면 SCAN 시간이 길어져 필요 이상 사용을 금지. 동영상 설명(스텝기준) 0. 1) M100 실행 접점으로 FOR문 실행 2) MOV명령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리셋 5. 1) FOR문 실행 7. 1) F..

** PLC 기초 명령어 / 특수 명령어 1. SET SET : 실행 지령(X0)이 ON이되면 출력 디바이스(M0)는 ON상태로 유지 시키는 명령어 (실행 지령접점만으로 자기유지가 가능한 명령어) RESET : 실행 지령(X1)이 ON이되면 출력 디바이스(M0)는 OFF상태로 변경되는 명령어 2. MOV 첫번째 디바이스 값을 둘번째 디바이스 영역으로 전송하는 명령어(move) 종류 : BMOV, FMOV, MOV, $MOV → 2Word 영역으로 사용하려면 명령어 앞에 "D"를 추가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참조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2019/12/14 - [PLC/Melsec-Q] - BMOV / FMOV 명령어를 이용한 사이클 타임 측정 BMOV / FMOV 명령어를 이용한 사이클 타임 측정 사이클..